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서구·강화군 갑

덤프버전 :

||
선거인 수306,291명 (2012)
상위 행정구역인천광역시
관할 구역
[ 펼치기 · 접기 ]
서구 일부
검암경서동, 연희동, 청라동, 가정1동, 가정2동, 가정3동, 신현원창동, 석남1동, 석남2동, 석남3동, 가좌1동, 가좌2동, 가좌3동, 가좌4동
신설년도2000년
이전 선거구서구
이후 선거구서구 갑, 서구 을
국회의원
ta-hash-start=w-7a445574f82e65c51893e253260b9b2a[[파일: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.svg
이학재




1. 개요[편집]


서구의 구도심 지역에 존재했던 지역구, 이름엔 강화군이 포함되어 있었지만, 해당 지역구엔 강화군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.[1]

청라동에선 민주당세가 약간 우위였지만, 나머지 지역에서 보수세가 강했기에 보수세가 미묘하게 우세했지만[2], 민주당계 정당 소속 국회의원도 꽤 많이 당선된 선거구다. 즉 경합지역였던 선거구인 셈이다.


2. 역대 국회의원 목록[편집]




3. 개표 결과[편집]



3.1. 제16대 국회의원 선거[편집]


서구·강화군 갑
검암경서동, 연희동, 가정1동, 가정2동, 가정3동, 신현원창동, 석남1동, 석남2동, 석남3동, 가좌1동, 가좌2동, 가좌3동, 가좌4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정정훈(鄭貞薰)28,0452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29.99%낙선
2조한천(趙漢天)36,9901위

ta-hash-start=w-99fb7da17723eaf0421a7bbb9fada352[[파일: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.svg
39.56%당선
3권중광(權重光)15,1613위

ta-hash-start=w-57ed6ae98f0ee3e1b35f8a1e33522825[[파일: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.svg
16.21%낙선
4이영우(李榮愚)2,0416위

ta-hash-start=w-82ab291abde88165ad929a677ccb1128[[파일:민주국민당(2000년) 흰색 글씨.svg
2.18%낙선
5김창한(金昌漢)6,9064위

ta-hash-start=w-8fde209ba4175cca35703a1095cfeec9[[파일: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.svg
7.38%낙선
6백석두(白石斗)4,3515위

무소속

4.65%낙선
선거인 수190,145투표율
49.70%
투표 수94,504
무효표 수1,010


3.2. 제17대 국회의원 선거[편집]


서구·강화군 갑
검암경서동, 연희동, 가정1동, 가정2동, 가정3동, 신현원창동, 석남1동, 석남2동, 석남3동, 가좌1동, 가좌2동, 가좌3동, 가좌4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송병억(宋炳億)35,5542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33.07%낙선
2조한천(趙漢天)12,3603위

ta-hash-start=w-6f484bd6048a732e74218496776f3107[[파일: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.svg
11.49%낙선
3김교흥(金敎興)48,6361위

ta-hash-start=w-974dbe29ad50ff87a18cd870881e8370[[파일:열린우리당 로고타입.svg
45.23%당선
4정종섭(鄭宗燮)8305위

파일:녹색사회민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0.77%낙선
5김창한(金昌漢)10,1304위

ta-hash-start=w-3cf7842c207445d9456cecd7be03c53a[[파일: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.svg
9.42%낙선
선거인 수200,170투표율
54.22%
투표 수108,541
무효표 수1,031


3.3. 제18대 국회의원 선거[편집]


서구·강화군 갑
검암경서동, 연희동, 가정1동, 가정2동, 가정3동, 신현원창동, 석남1동, 석남2동, 석남3동, 가좌1동, 가좌2동, 가좌3동, 가좌4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김교흥(金敎興)33,3082위
[include(틀:통합민주당(2008년))]39.49%낙선
2이학재(李鶴宰)45,3561위
[include(틀:한나라당)]53.77%당선
6이상구(李尙九)4,4873위
[include(틀:진보신당)]5.32%낙선
7홍승석(洪承錫)1,1884위
[include(틀:평화통일가정당)]1.40%낙선
선거인 수212,272투표율
40.19%
투표 수85,305
무효표 수966

김교흥 VS 이학재 Round 1

3.4. 제19대 국회의원 선거[편집]


서구·강화군 갑
검암경서동, 연희동, 청라동, 가정1동, 가정2동, 가정3동, 신현원창동, 석남1동, 석남2동, 석남3동, 가좌1동, 가좌2동, 가좌3동, 가좌4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이학재(李鶴宰)64,2021위
[include(틀:새누리당(2012년))]52.65%당선
2김교흥(金敎興)57,7242위
[include(틀:민주통합당)]47.34%낙선
선거인 수236,911투표율
51.88%
투표 수122,919
무효표 수993

김교흥 VS 이학재 Round 2

4. 부활 논의[편집]



4.1. 제22대 국회의원 선거[편집]


중구·강화군·옹진군 내부에서 영종국제도시 인구가 폭증하면서 이 선거를 계기로 서구와 강화군을 합친 선거구가 부활할 가능성이 생기게 되었다. 다만 선거구는 서구·강화군 갑/을/병(갑(루원시티+원도심(연희동 제외한(가정동, 가좌동, 석남동)), 을(청라국제도시+연희동+검암경서동), 병(검단신도시+강화군)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.

그러나 이렇게 하지 않아도 기존의 중구·강화군·옹진군 선거구가 획정 하한/상한에 걸리지는 않으므로 현행 선거구가 그대로 유지될 가능성이 더 높다.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03 01:13:53에 나무위키 서구·강화군 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당시 바로 직전 15대 총선에서 계양구·강화군 갑 선거구도 계양 1동만 제외하면 역시 강화군이 포함되지 않았으며, 후인 21대 총선에는 동구·미추홀구 을 선거구도 미추홀구 주안동, 도화동 일대만 제외하면 미추홀구 전체를 담당했기 때문에 이 역시 선거구 명칭과 달리 동구가 포함되지 않았다.[2] 다만 청라지역에서는 민주당이 앞섰지만, 원도심 일부(특히 가정동 루원시티)가 재개발전이고, 청라국제도시가 아직 완전히 입주 및 완공이 안 돼서 설령 청라지역에서 민주당 후보가 이겼어도 원도심에서 보수정당이 우위를 차지했기 때문에 청라동을 이겼던 득표수를 상쇄시키지를 못해 한 끗 차이로 낙선하였다.